도시계획소개
미래와 꿈이 있는 도시, 대덕구의
도시계획을 소개합니다.
도시재생 뉴딜사업

도시재생 뉴딜사업이란?
인구의 감소, 산업구조의 변화,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,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, 새로운 기능의 도입·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·사회적·물리적·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업입니다.
도시재생뉴딜사업 추진 방향
- 비전 : 지역 공동체가 주도하여 지속적으로 혁신하는 도시, 살기 좋은 대한민국
- 정책목표 : 주거복지ㆍ삶의 질 향상, 도시 활력 회복, 일자리 창출, 공동체 회복 및 사회 통합
- 3大 추진전략 : 도시공간 혁신, 도시재생 경제 활성화, 주민ㆍ지역 주도
- 5大 추진과제
- 노후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 정비
- 선진국 수준의 기초 생활인프라 공급
-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활성화
- 주거 젠트리피케이션 완화 및 공적임대 공급
- 구도심을 혁신거점으로 조성
- 컴팩트 네트워크 도시 구축
- 복합기능의 혁신공간 조성
- 지역 특화재생 프로그램 지원
- 스마트 시티형 도시재생 뉴딜 활성화
- 도시재생 경제 생태계 조성
-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 지원
- 민간 참여 모델 마련
-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자리 창출 관리
- 풀뿌리 도시재생 거버넌스 구축
- 지역의 도시재생 역량 강화
- 지역 주민의 참여 기반 조성
- 지역의 도시재생 거버넌스 체계 구축
- 상가 내몰림 현상에 선제적 대응
- 동향 모니터링 체계 구축
- 상생협약 체결 활성화 지원
- 임대료 안정공간(공공임대상가) 공급
- 재생이익의 선순환 유도 및 사회적 규제 합리화
- 기반구축
- 지역 주도뉴딜사업 추진
- 지역 주도 맞춤형 선정
- 사업 관리체계 구축
- 법ㆍ제도 정비
- 도시재생법 개정
-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 고도화
- 공적재원의효율적 운용
- 재정 투입: 연 2조원
- 기금 지원: 연 4.9조원
- 공기업 투자: 최대 연 3조원
도시재생뉴딜사업 추진절차
- 기반구축단계
- 추진절차
- 도시재생전담조직 (도시재생추진단 및 유관부서 tf 등) 구성
- 사업총괄 코디네이터 위촉
- 현장지원센터(거점공간) 설치 및 전문인력 활용계획 수립
- 주민ㆍ상인 상생협의체 구성
- 사업추진협의회(운영위원회) 구성ㆍ운영
- 도시재생활성화계획수립단계
- 추진절차
- 사전조사 및 도시재생활성화 계획 수립용역 발주
- 주민공동체ㆍ거버넌스 구성원 역량강화 교육 기획 및 시행
- 쇠퇴진단 및 지역자산 발굴, 잠재력 분석
- 계획의 목표 및 핵심전략(핵심컨텐츠) 설정
- 부처 협업사업 발굴 및 연계
- 마스터플랜 및 세부사업별 실행계획 수립
- 사업시행단계
- 추진절차
- (공공개발착수) 사업지역 내 거점사업 및 공공임대주택 확보
- 기반시설/공동이용시설/생확편의시설 등 거점공간 설치ㆍ확보, 주민주도 사업 및 마을관리를 위한 역량강화교육 기획 및 시행
- 부처, 부처협업ㆍ연계사업 계속 시행
- 주민주도사업 착수 (공공지원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