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활용 가능품목 및 분리배출 요령
재활용 가능품목 및 분리배출 요령 정보를 제공하는 표
구분 |
가능 품목 |
안되는 품목 |
종이류 |
폐지, 신문지 등 |
비닐코팅된 종이 |
종이팩 |
우유팩, 주스팩 ※세척하여 펼쳐서 말린 후 배출 |
이물질이 있는 것 |
유리병 |
맥주, 소주, 음료수 |
사기그릇, 판유리, 거울 |
캔, 고철 |
철캔, 알루미늄 |
이물질이 묻은 것 |
비닐류 |
비닐류(과자봉지 등) |
이물질이 묻은 것 |
플라스틱 |
플라스틱 용기 ※단일재질의 플라스틱류만 가능 |
복합재질 제품 |
페트(pet)병 |
무색 페트병만 별도 배출 |
|
형광등·건전지 |
폐형광등 수거함 이용 |
깨진 형광등 |
소형가전 |
휴대폰, MP3, 드라이기 등 ※소형가전제품수거함 이용 |
대덕구 조례에 따른 대형폐기물에 해당하는 제품 |
※ 신탄진 장날이 수거일과 겹칠 때에는 시장주변은 익일, 폐형광등 및 폐식용유, 폐전지는 토요일에 별도 수거
종이류
- 신문지 : 물에 젖지 않도록 하고 반듯이 펴서 차곡차곡 쌓은 후 묶어서 배출
- 책자, 노트, 달력, 종이쇼핑백, 포장지 : 비닐코팅된 겉표지 등은 떼어낸 후 배출
- 종이컵, 우유팩, 음료수팩 : 내용물을 비우고 압착하여 봉투에 넣거나 묶어서 배출
- 종이상자(과자, 과일포장상자, 기타 골판지상자 등) : 압착하여 묶어서 배출
※ 알루미늄 등 금속이 박힌 복합소재 종이, 택배전표, 영수증 감열지, 사진용지, 기름때가 묻은 종이호일, 사용한 화장지, 방수 가공 포스터 등은 재활용되지 않으니 종량제봉투에 배출
유리병
- 음료수병, 기타병류 : 병속에 내용물을 비운 후 배출. 담배꽁초 등 이물질을 넣지 말 것
※ 빈용기보증금 대상 유리병(맥주병, 소주병, 청량음료수병)은 소매점에서 환불 받을 수 있음
캔류
- 철캔, 알루미늄캔 : 캔속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비우고 압착하여 배출. 겉 또는 속의 플라스틱 뚜껑 등은 분리하여 배출. 담배꽁초 등 이물질을 넣지 말 것
- 기타 캔류(부탄가스, 살충제 용기등) : 용기를 흔들어서 사용하여 내용물을 비운 후 배출
고철류
- 철(공기구, 철사 못 등), 비철금속(알미늄, 스텐류 등) :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한 후 봉투에 넣거나 끈으로 묶어서 배출 플라스틱 등 기타 재질이 많이 섞인 폐품은 금속성분이 있더라도 고철로 배출하면 안됨
비닐류
- 일회용 비닐봉투, 라면 및 과자봉지 등 : 이물질 제거후 배출 투병비닐봉투나 큰 종이봉투에 담아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묶어서 배출
페트병(PET)
- 무색 투명한 먹는샘물, 음료,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(PET)병 :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부착상표(라벨) 등을 제거한 후 가능한 압착하여 뚜껑을 닫아 배출
※ 나머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(PET)병은 플라스틱류와 함께 배출
의류
- 면 섬유류, 기타 의류 : 물기에 젖지 않도록 마대 등에 담거나 묶어서 배출
※ 솜이불, 카시밀론 이불, 베게, 방석, 담요, 모자, 카펫 등은 재활용이 되지 않으니 종량제봉투에 배출
누구나 손쉽게 재활용품 분리배출을 실천하고,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모바일 앱 “내 손안의 분리배출”
모바일 앱
안드로이드 사용자용 |
애플 사용자용 |
 |
 |